Home » Articles posted by energyoknews (Page 4)

호주에 세계최대 배터리 공장생긴다

호주에 대규모 그리드 축전지 단지가 생길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이 단지는 현재 캘리포니아 1위 배터리 단지보다  3배 큰 것으로 뉴사우스웨일스주에 건립될 예정이다. 

재생 에너지 기금 CE Partners(cepenergy.com)는 오는 2022년 초 1200메가와트급 공사를 시작해 2023년에 배터리를 온라인 상태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리스 이엠마 회장은 “이 배터리 단지는 석탄과 가스 등 점진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에너지 공백을 메우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프로젝트는 헌터 밸리 지역의 석탄 채굴 중심지 역할에서 장기적인 변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올해 약 800메가와트의 그리드 규모 프로젝트가 현재까지 호주에서 조달한 총 용량의 거의 두 배가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기업들은 호주의 방대한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점점 더 큰 배터리 구축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호주는 지난 2017년 엘론 머스크가 당시 최대 규모였던 100메가와트 시스템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서 100일 이내에 가동할 수 있다는 재정 계획이 성공함에 따라 이제 대형 배터리 기술의 최전선에 서게 됐다.

프랑스의 Neoen SA가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주에 500 메가와트와 남부 빅토리아주에 300 메가와트 배터리회사 설립을 고려 중이라고 알려졌을 때 오리진 에너지사는 지난달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에 700 메가와트 배터리 회사설립을 심사숙고 중이라고 발포한 바 있다. 

캘리포니아에 있는 비스트라의 모스 랜딩 프로젝트(Vistra Corp.’s Moss Landing project)는 현재 가장 큰 저장 배터리이며 400메가와트 시스템으로 확장될 예정이니다.

CE Partners는 조만간 헌터 밸리 프로젝트의 배터리 공급자 선정/을 위한 절차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 펀드는 호주 전역의 산업현장 옥상 태양광 발전과 배터리 저장장치 등을 연계해 가상발전소를 건설한다는 별도 계획도 갖고 있다.

-블룸버그 원문기사

미국 ,석유와 가스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 에너지부에서 최근 국내에서 생산되는 석유와 가스산업으로 미국내 수백만 개의 일자리가 지원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는 더 낮은 에너지 비용을 제공하고 에너지 안보도 보장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에너지부는 트럼프 행정부와 함께 미국 에너지생산에서 오는 혜택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석유와 가스산업 지원응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내 석유, 천연가스 및 석탄은 국내 에너지 사용량의 80 %를 제공하고 있다. 또 올해 초 석유 및 가스 산업은 1,230 만개의 미국 일자리를 담당하기도 했다.

에너지부는 2012년 ~ 2025년 사이 석유 및 가스산업에서 나오는 연방 및 주정부 세금 수입으로 1 조 6 천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이 재정으로 전국의 학교, 병원 및 공공 인프라의 유지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에너지부는 석유 및 가스 생산은 미국 소비자로 하여금 연간 약 2,300억 달러를 절약하는데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는 4 인 가족이 연 2,500 달러를 절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더하여 가정에서 석유와 가스로부터 나오는 혜택은 수 천억 달러를 새로운 제조업에 투입하여 전국 단위로 새로운 일자리, 인프라 및 경제적 기회 개발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 대규모 석유 및 가스 공급으로 인한 에너지 비용 절감은 미국에 대한 민간부문 투자와 경제성장을 지원한다고 언급했다.

2019년 미국의 무역 적자를 언급하면서 에너지부는 국내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이 없었을 때보다 3,500 억 달러나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내 제조업이 소비하는 에너지는 전체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이 저렴해짐에 따라 제조업이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추정에 따르면 펜실베니아(PA), 오하이오(OH), 웨스터 버지니아(WV) 및 켄터키(KY)의 제조업에서 63만 개의 일자리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상공 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 보고서에 따르면 수압 파쇄(hydraulic fracturing)를 중단할 경우, 현재부터 오는 2025년 까지 직접 간접적으로 1,9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각 주별로 에너지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게되는 일자리는 다음과 같다.  

오하이오 700,000 개의 일자리
펜실베이니아 609,000 개
콜로라도 49,000 개
텍사스 3,157 만 개
뉴 멕시코 142,000 개
위스콘신 300,000 개
미시간 516,000 개

미 에너지부 발표자료

대한민국 국제 에너지 의존도 높다 – EIA

미국 에너지정보연구원(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이 지난 116일 대한민국의 전체 에너지 사용에 대한 통계를 발표했다

자료는 전체개관에서 대한민국은 거의 대부분의 화석연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 대한민국은 LNG, 석탄, 석유에 있어 세계 탑 5위 연료수입국 중의 하나임에도 국제적인 연료공급 파이프라인을 갖고 있지 않으며 또 LNG나 크루드 오일을 저장 운반할 수 있는 독자체계를 갖고 있지 못하다고 진단했다

자료는 또 한국은 2019 년에 세계 9 위의 에너지 소비국이었다. 특히 전자, 반도체, 석유 화학 제품을 주로 아시아 지역 무역 파트너에게 수출함으로써 국가 경제 성장을 촉진했다는 점, 하지만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지난 2년동안 20173.1 %에서 2019 2.0 %로 둔화되었다는 점, 이는 최근 10년 만에 가장 낮은 GDP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국외적으로는 일본과의 무역분쟁 및 건설투자 약화와 국내적으로 고령화 인구증가 등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에너지 수요와 전반적인 경제환경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경제 침체로 인해 한국의 전체 에너지 소비가 2018~2019년까지 감소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또 석탄 및 천연가스 파생물을 포함한 석유 및 기타 액체가 2019 년 한국의 1차 에너지 소비에서 가장 큰 비중인 43%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 비중은 1990 년대 중반 이후로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천연가스, 석탄 및 원자력 소비의 꾸준한 증가로 전력 부문과 산업부문의 석유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원자력 에너지 소비비중이 증가한 반면 석탄 소비비중은 2018년 수준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대기배출을 줄이기 위해 겨울철 일부 석탄 화력 발전을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다.

EIA 통계 원문

미국 석유소비 올들어 31% 감소-EIA발표

코로나19로 인해 미국의 석유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하루 석유 소비량은 보통 2천만 배럴 정도였습니다. 올들어 그 소비량이 31% 감소했다고 미국정부기관인 EIA(Energy Informaton Administration)가 최근 발표했습니다. 

가장 큰 감소폭을 보인 것은 비행기에 사용하는 제트오일로 62%가 감소했으며 다음이 자동차 개솔린이 40%, 그리고 증류 기름이 20% 감소했습니다. 

미국원전, 20년간 신규건설 없어

미국내 현재 가동중인 원전은 100기에 달한다. 대부분 동부 인구밀집지역에 위치해 있다.(사진은 NRC 자료) 
하지만 미국정부는 1996년 테네시주 원전허가를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원전건설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미국의 핵에너지정책과 원전허가를 관장하는 USNRC(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의 전망에 따르면 미국 원전 중 향후 5년내 19개, 15년안에 모든 원전이 가동을 멈출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 원전의 신규건설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시장성때문으로 분석된다. 30년전에는 매출대비 30%의 이익이 발생했으나 현재는 원전운영이 생계를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뉴욕주 업스테이트와 일리노이 원전은 파산까지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폐기 전망을 가능케하는 이유중의 하나는 현재 프랑스 남부에 건설중인 핵융합실험실(ITER-이터) 때문이기도 하다. 현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 인도, 그리고 유럽연합이 참여하고 있는 ITER 핵융합발전소는 기존의 핵발전소 최대문제점인 핵분열이 아닌 핵융합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ITER은 향후 30년내에 제2의 태양이라 일컫어지는 핵융합 발전소의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의 원자력발전소를 대체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미국 에너지부는 최근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48개의 프로젝트에 4천600만 달러의 투자를 발표했다. 현재의 원전은 폐기하는 쪽으로, 태양에너지 등 대체에너지는 개발 장려하는 쪽으로 정책가닥을 잡고 있는 것이다. 

이와반대로 대한민국의 원전은 좁은 국토와 인구밀집지역에 20개나 되는 원전이 자리잡고 있어 미국동부지역보다 더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다. 더우기 20년전부터 원전 신규허가를 아예 허락하지 않았던 미국에 비해 한국은 소위 ‘이명박근혜’ 기간동안 원전 해외수주와 국내건설을 마구잡이로 남발해 왔다. 국민경제를 살린다는 이유에서였다. 

대한민국은 문재인 정부시대를 맞아 탈원전 에너지 정책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을지 주목받고 있다. 

Stone Choi. 

미 에너지부, 태양발전에 4620만달러 투자

미에너지부가 지난 12일 태양광 발전을 위해 4620만달러의 투자를 발표했다. 에너지부는 이번 투자는 전체 48개 프로젝트로 구성됐으며 태양을 이용한 발전의 안정성과 효율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 계획을 통해 관련 산업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8개 프로젝트는 태양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로 대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 프로젝트에 2천50만 달러가 지원된다. 20개 프로젝트는 기업가와 소상공인들을 위해서 진행된다. 20개 프로젝트에는 2,570만 달러가 지원될 예정이다. 

미 에너지부 발표내용 원문

 

핵재처리-파이로프로세싱의 비밀

고리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한 대한민국의 원전은 여러가지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이에더해 경주에 핵재처리를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준비한다는 보도가 뉴스타파에서 나왔습니다. 

핵발전을 하고 남은 연료를 다시 태워 없앤다는 개념입니다. 

하지만 남은 핵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다시 위험한 물질이 생성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이 위험한 물질을 없애기위해 다시 태우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수백년이 지나야 위험물질이 완전히 없어진다고 합니다. 어쩌면 선진국에서 실시하기 힘든 프로젝트를 한국 경주에 들여오는 것은 아닌지 걱정됩니다. 

만약 북한이 핵을 가지니 우리도 핵에서 앞서가야 한다는 생각에서 이 프로젝트가 추진된다면 정말 심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뉴스타파 보도영상 1, 2부를 연결합니다. 

[기자수첩] ‘판도라’를 보고

2016년 12월 한국에서 개봉된 박정우 감독의 ‘판도라’를 보았다. 

한별 원자력발전소가 지진으로 인해 폭발의 위험에 처했을 때 이를 시민 강재혁(배우 김남길)이 자신의 목숨을 던져 구해낸다는 줄거리다. 

영화는 한 시민의 희생을 부각시키면서 정부의 무능한 대처를 꼬집고 있다. 특히 대통령 직속인 총리는 부패와 무능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기술적, 수치적인 문제는 전문가에 따라 엇갈리는 견해가 있더라도 원자력의 위험성을 알리는 데는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판도라 영화 촬영 도중에 경주지진이 발생했다. 그래서인지 울산지역에서 가장 높은 영화 관람율을 기록했다. 

울산지역이 고리원자력, 월성원자력 발전소와 밀접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 최초인 고리원자력발전소는 1967년 박정희 대통령 당시 계획을 시작해 10년뒤인 1977년에 원자력발전소를 완공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78년 최초 가동을 시작했다. 

2016년 현재 한국에는 전남 영광의 한빛 원자력발전소,경북 울진의 한울 원자력발전소, 경남의 고리 원자력발전소와 월성 원자력발전소 등 전체 25기가 가동 중이다. 전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소 밀집도 1위, 발전소 주위 인구 밀집도도 단연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전체 대한민국의 전력 공급량 30%와 해외 수주로 인한 국가경제 기여도를 내세워 원자력발전소 감축에 대한 주장이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판도라’의 상자가 우리에게 편리함만을 선물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판도라’ 영화가 보여주고 있다. 

Stone Choi. 

대전은 체르노빌이 아닙니다.

한국의 전기사용량 중 원자력 비중은 30%에 달합니다. 정부는 경제적인 이유를 앞세웁니다. 원자력 발전소 수주도 역시 경제적인 이유로 정당화되고 있습니다. 

고리, 울진, 영광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온 중저준위 방사성물질이나 폐연료봉들이 대전 원자력연구원으로 수없이 옮겨졌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뉴스타파 보도는그 심각성이 이미 도를 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OPEC, 하루 120만배럴 감산합의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30일 본부가 있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9시간의 마라톤협상 끝에 ‘하루 120만 배럴 감산’에 합의했다. 120만 배럴은 전체 생산량의 4.5%에 해당된다. 이로인해 유가가 9% 급등하는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감산에 반대한 인도네시아는 OPEC 회원국에서 제외돼 OPEC는 전체 13개 회원국이 됐다. 

OPEC의 감산합의를 이끌어 내는데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람코를 상장할 경우, 가치를 끌어 올릴 필요가 있었고 이를위해 석유감산을 통한 유가상승을 유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감산합의에도 불구하고 감산에 대한 구속력이 없어 이행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0년동안 100회의 회의를 통해 생산목표를 정했지만 그대로 지켜진 것은 2~3회에 불과하다.   

이번 감산합의로 특수를 누리게 된 것은 미국의 쉐일석유산업인 것으로 진단됐다. 그동안 저유가로 인한 채산성문제로 생산을 못하던 미국의 쉐일정유업계들은 감산합의가 정식으로 시작되는 내년 1월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석유순수입국인 자국의 상황을 감안해 싼값으로 석유를 수입할려는 정책으로 인해 이번 감산에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회원국인 러시아도 감산에 동참할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이번 감산합의로 인해 유가가 어느 정도까지 상승할지는 엇갈린 분석이 나오고 있다. 감산에 대한 강제성이 없다는 점, 겨울에 시추기계를 멈출 경우 재가동이 힘들다는 점 등 상대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가가 상승하더라도 배럴당 60달러 선을 넘기가 힘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OPEC는 13개 나라 중 6개가 중동에 5개 나라가 아프리카에 소재해 있으며 중동지역이 전체 원유생산량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중동지역 OPEC 회원국은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를 비롯해 카타르, 아랍에미리트연합 등이다.